728x90
반응형
별빛 (스타의 빛)
지금 내 눈에 보이는 별들은 출발 시점이 다른 여러 과거의 별들이 섞여서 보이는 것입니다.
별빛은 별에서 출발한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매우 긴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지금 보는 별빛은 수십, 수백, 심지어 수천 년 전에 별에서 발산된 빛이 지구에 도달한 것입니다. 이는 빛의 속도(약 30만 km/s)로 이동하는 빛이,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별이나 은하에서 오기 때문에, 그 빛이 도달하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따라서, 우리가 밤하늘에서 보는 별빛은 그 별이 지금 상태가 아닌, 과거의 상태를 보고 있는 셈입니다.
- 예를 들어, 알데바란은 약 65광년 떨어져 있으며, 우리가 지금 보는 알데바란의 빛은 65년 전에 출발한 것입니다.
- 베텔게우스 같은 별은 약 600광년 떨어져 있어서, 지금 우리가 보는 빛은 600년 전에 출발한 것입니다.
별똥별 (유성)
별똥별은 우리가 하늘에서 보통 "별이 떨어진다"고 표현하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사실 별똥별은 우주에서 온 별이 아니라, 태양계 내의 작은 먼지나 돌덩어리가 지구 대기권에 진입하면서 공기와 마찰을 일으켜 타오르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우리가 보는 유성은 대개 대기권에서 순간적으로 불타는 작은 입자들이므로, 그 빛은 지구 대기에서 몇 초 이내에 발생하는 일입니다.
- 별똥별은 대부분 수미터에서 수센티미터 크기의 먼지나 작은 돌로, 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권에 들어오면서 대부분 타버립니다.
- 유성우 같은 경우, 우주 먼지들이 혜성이나 소행성의 궤도를 따라 지구 대기권에 들어와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렇듯 별빛은 과거의 별에서 출발한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것이고, 별똥별은 현재 태양계 내에서 지구 대기권에 진입한 물질들이 불타면서 생기는 일시적인 현상입니다. 두 현상은 모두 "하늘에서 보이는 빛"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발생하는 시간적 차이가 매우 크다는 점에서 차이가 납니다.
728x90
반응형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Turabian"은 학술 글쓰기 스타일 (0) | 2025.03.25 |
---|---|
AI 시대 문해력이란 ? (1) | 2025.03.20 |
별똥별, 유성, 유성우, 수도권 천문대 소개 (0) | 2025.03.20 |
FutureLearn ( 온라인 교육 플랫폼 ) (2) | 2025.03.19 |
미국 아이비 리그 대학 무료 강의 (2) | 2025.03.19 |